본문 바로가기

Java9

do get 의 기본 완성 문구 서블릿을 만들때 do get 을 체크하면 아래와 같이 do get 메소드가 자동 완성이 된다 protected void doGet(HttpServletRequest request, HttpServletResponse response) throws ServletException, IOException { response.getWriter().append("Served at: ").append(request.getContextPath()); } 여기서 response.getWriter().append("Served at: ").append(request.getContextPath()); 이 문구의 뜻을 알아보면 response 내의 getWriter() 메소드 실행 2022. 7. 12.
servlet 의 get / post 인코딩 방법 do와 post 메소드는 각각 인코딩 방법이 다르다 get 메소드를 사용 시 소스에서 헤드 사이에 을 넣어주면 된다 utf는 대 소문자 모두 사용가능하다 post 메소드를 사용 시 HttpServletRequest 의 상위 객체인 ServletRequest 가 가진 setCharacterEncoding() 메소드를 사용한다 post 메소드 내에서 인코딩 할 요청 데이터를 받기 전에만 setCharacterEncoding() 을 사용하여 인코딩 하면 된다 doPost(HttpServletRequest request, HttpServletResponse response)예외 등등{ request.setCharacterEncoding("utf-8"); // 요청 데이터 가져오기 전에 선언 짠! String n.. 2022. 7. 5.
servlet spec 3.0 미만에서 xml의 display-name 의미 서블릿 스펙 3.0 미만에서는 어노테이션을 지원하지 않기때문에 xml 에서 각 서블릿마다 맵핑을 시켜줘야 한다 서블릿 맵핑 태그에서 url-pattern 과 servlet-name 이 서로 매칭되어 맵핑 되고 - 사실상 서블릿 네임이란 변수에 url 패턴을 저장하는 것과 같다 서블릿 태그에서는 서블릿 네임이란 변수로 url을 가져와 사용하게 한다 따라서 서블릿 맵핑 태그와 서블릿 태그의 서블릿 네임은 같은 변수이므로 같아야 한다 - 같은 변수로 쓰이니까! url 이 여러개일때 각각을 서블릿 네임 변수에 담아 사용하게 된다 servlet-class 는 변수 servlet-name 이 가리키는 실제로 실행될 서블릿 클래스 파일이다 - 즉, 변수에 서블릿 네임에 할당한 값이 서블릿클래스라고 할 수 있다 ser.. 2022. 7. 4.
[JSP] 입출력 시의 문자 인코딩 그냥 서블릿 작성을 작성할 시 한글을 그대로 출력하도록 하면 글자가 깨진다 이는 프로그램의 기본 언어 인코딩이 한글을 인식할수있는 UTF-8 이 아니기 때문이다 영어권의 인코딩 방식이 기본인데 이는 1byte 당 문자 1개로 매칭되어 영어를 표현하기 때문이다 1바이트가 차면 바로 옛다 영어 하나다 하고 보내는 것이다 저번에 했던 아스키 코드가 여기서 쓰인다. bit 가 4개 모여 nibble 이라고 하고 2개의 nibble 이 모여 (= 8개의 bit가 모여) 1byte 를 이룬다 4개의 bit가 모인 nibble 은 16개의 경우의 수를 가질수있는데 이걸 이용해서 16진수로 표기를 할수있고, 16진수로 표현 시 0x를 앞에 붙이고 0부터 f 까지 16가지의 경우를 표기한다 1byte 는 2nibble .. 2022. 5.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