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337

margin 상쇄 시 해결방법 1. 부모 요소의 css 에 overflow : hidden 을 적용하면 된다 부모요소 { overflow : hidden; } 2. 부모 요소 전의 요소 css를 아래와 같이 바꿔주면 된다고 한다 ( 위의 경우가 display 속성을 건드리지 않으니 일반적인 경우는 1의 오버플로우 히든 방법을 쓸 것 같다 부모요소:before { content: ""; display: table; } 2022. 7. 15.
[백준 11866/c++] 요세푸스 문제 0 큐를 사용해서 k-1번만큼 front를 push하고 front를 pop 돌린 후 맨 앞의 수를 출력 후 pop한다 이것을 큐가 빌때까지 반복하면 끝인 문제! https://www.acmicpc.net/problem/11866 11866번: 요세푸스 문제 0 첫째 줄에 N과 K가 빈 칸을 사이에 두고 순서대로 주어진다. (1 ≤ K ≤ N ≤ 1,000) www.acmicpc.net #include using namespace std; int main() { int n, k; queue q; cin >> n >> k; for (int i = 1; i 2022. 7. 14.
a태그의 href 와 link 태그 무슨 차이일까? 결론부터 말하자면, a 태그는 페이지 이동 시 사용되고 상태값과 컴포넌트가 초기화되고 페이지가 새로 고침된다 link 태그는 페이지가 새로고침 되지 않고 브라우저의 주소만 바뀌므로 상태값과 컴포넌트를 유지할 수 있다 리액트의 경우 단일 url 을 가지고 Single Page Application 으로 사이트를 표현하기 때문에 매번 새로고침하면 상태값과 랜더링에 자원이 소모된다. 때문에 새로고침이 아닌 업데이트만 하기 위해서 리액트의 경우는 link 를 사용해서 타 페이지를 연결해줘야 한다 하지만 리액트가 아닌 소규모 프로젝트에는 a가 페이지 연결의 의미에 더 맞을 것 같다 link는 css 나 png 파일 등과 현재 문서와 관계를 정의하거나 열기 위한 것이 원래 목적이니 용도에 맞게 사용하자 2022. 7. 14.
html 페이지마다 css 파일을 만들어야 할까? 결론부터 말하자면 style.css 파일 하나만 만드는 것이 좋다 여러개의 css 파일로 만들어서 각 html 파일에 연결해주면 개발은 쉬워질 수 있으나 사용자는 매 html 페이지마다 css 파일을 다운로드 해야 하므로 매 페이지마다 로딩 속도가 느려질 수 있다 css 의 양이 너무 방대해지거나 특수한 경우가 아니면 하나의 css 파일에 여러 html 을 연결해 사용하자 2022. 7. 13.